|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Physics Informed Neural Network
- Newton Raphson 방법
- MySQL 64비트
- PINN의 미래
- Spectral method
- physics informed deeponet
- jax
- HFSS
- Physics Informed Neural Operator
- 물리 지식 기반 인공지능
- 경계 비선형성
- FEM 원리
- 재료 비선형성
- SQL 자격증 설명
- 대만 여행 지원금 기간 연장
- 셀레니움
- 파생 pinn
- 유한 요소 해석
- Anaconda
- 푸꾸옥 여행 계획
- Burgers Equation
- 기저 함수
- 연산자 학습
- PIDoN
- PIN vs CAE
- WPT
- SQL 자격증 기본 정보
- 접촉 비선형성
- Pino
- PINN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4)
잡다구리 너구리
연인 분께서 뜬금없이 SQLD 자격증을 딴다고 한다. 가산점이 들어간다나 뭐라나. 코딩에 대해 1도 모르는 터라, 과연 혼자서 잘 준비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나도 같이 공부해서 알려주고 겸사겸사 따기로 했다. 공부 기간도 짧고 데이터 쪽 코드는 아예 모르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코드를 읽을 줄 아니까 회사 다니면서 해도 할만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노베이스여도 2주 정도만 공부하면 딴다고 하기도 하고. 그런 의미에서 SQLD 자격증이 정확히 어떤 내용이고,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MYSQL을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객관식 위주의 시험인 것 같지만, 직접 코드를 해보면서 결과를 보는 게 하는 것이 눈으로만 공부하는 것보다 조금 더 재미를 붙이고 기억에 오래 남지 않을까 싶다. SQL 자격증이..
원래는 명절동안 이런저런 공부를 하며, 포스팅을 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는데, 푸꾸옥 여행 계획 짜느라 시간이 다 가버렸다. 원래는 좀 더 나이브한 정도로만 짰던 것 같은데, 시간이 많아서 그런가.. 그런 김에 푸꾸옥 여행 계획 짜는 팁에 대해서 적어볼까 한다. 여행 계획은 한 번 짜두면 주변에서도 가끔 물어보기 때문에 글로 남겨두는 게 좋겠다는 생각. 제목은 4박 5일이지만, 사실상 가용 가능한 일정은 3일밖에 없어서, 휴양 목적임에도 불구하고 예상외로 빡빡한 일정이 되어버렸다. 제목에 가성비를 넣은 이유도 금전적인 가성비가 아니라 시간적인 가성비를 뜻한다. 휴양 목적과는 의도치 않게 알찬 일정이 되어버림. 아직 가보진 않았으므로 글을 읽을 때 유의하기 바람. 갔다 와서 찾아보면서 헷갈렸던 상세한 후기를..
문득 생각이 들 때마다 새로운 연구들이 있나 PINN에 관해서 찾아보고는 한다. 그러던 중 한 가지 사이트를 발견했는데, 개인이 사이트를 만들어서 본인이 지금까지 읽었던 논문이나 관련한 내용들을 포스팅을 하고 있었다. 글의 퀄리티도 높고, 일반 블로그 수준이 아니라 학부생 시절 나도 이런 식으로 기록을 해둘걸.. 하는 생각도 했다. 파생 PINN에 관한 글도 몇 개 있어 한 번 읽어보았는데, 몰랐던 부분을 알게 되어 해당 논문을 읽어보았다. 해당 논문에 대한 리뷰를 적어둔 사이트 링크는 글 하단에 첨부하였다.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은 PINN이 PDE의 계수에 따라 예측 성능의 영향성을 받는다는 부분이었다. 사실 해당 사항을 경험적으로는 알고 있었는데, PINN 뿐만 아니라 물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
비록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인공 지능과는 거리가 멀지만, 언젠가는 기회가 된다면 내가 하는 일에도 접목시켜보고 싶은 마음에 간간히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편이다. 애초에 공부가 부족하기도 해서 공부하고자 하는 마음에.. 그러던 중 물리 기반 신경망이 전통적 수치 해석을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견해를 담은 성균관대 교수님의 글을 보게 되었다. 해당 부분은 한 때 나 또한 관심이 많아 여러 교수님들께도 여쭤보고, 운이 좋게도 해당 주제를 다룬 글이 작은 대회에서 상도 받은 기억이 있다. 요즘 현업이 바빠 다른 공부를 해서 블로그에 포스팅할 틈이 없어, 한 번 해당 주제에 대한 생각을 풀어보고자 한다. 일단 하단에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님의 글을 첨부한다. PINN과 같은 물리 정보 기반 인공지능에 대한..